교육시설
김진형 @musipanman / 건축설계스튜디오 VII
새로운 개념의 초등학교를 제시하여 지역 주민과 공생관계를
조성하고 학생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제공하는 공간을 제안한다.
Introduction
위치 :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새싹길 55
용도 : 초등학교 + 생활 SOC (도서관, 극장, 체육관, 마을 사랑방, 전시관)
층수 : 지상 6층
대지면적 : 17,600 ㎡
건축면적 : 9,785 ㎡
연면적 : 19,801 ㎡
건폐율 : 55.6%
용적율 : 112.5%
구조 : 철근콘크리트
Architecture that I think of
사람들은 학교의 공간 구조 변화에 대해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학교 공간은 일자형, ㄱ자형 배치와 관계 맺지 못한 큰 운동장, 담으로 둘러 쌓여 주민과 단절을 일으키며 혹자는 마치 교도소와 같다고 얘기한다. 학생들에게 좀 더 제대로 된 교육과, 그에 맞는 공간을 어떻게 제공해야 할까?
이번 주제인 하이퍼 로컬은 용도구역의 조닝과는 달리 섞이는 도시 구조와 섞이는 공간 구조를 추구한다.
멀리 떨어져 존재하는 것이 아닌 좁은 범위의 지역에서 다같이 존재하며 상생하며 잘 섞여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 그것이 하이퍼 로컬이다. 낙후된 영도에서 Elemental Harmony Hills 가 어떻게 도시적으로 공간적으로 섞여 나가야 할까?
Site
<site analysis>
해당 대지 기준으로 동쪽은 봉래산, 남쪽은 흰여울 마을, 서쪽은 남항이 위치하며 대지는 경사지에 위치하여 서쪽의 전망이 좋다. 대지를 기준으로 서쪽은 일제강점기에 동쪽은 6.25 피난 때 형성된 마을이고 남항초등학교 계획 시 뒤에 마을이 없어 급경사로 절토하였다. 시간이 흘러 무작위하게 지어진 건물들은 도로와 닿아 있지 않아 건축 행위가 불가능하기에 노후도와 빈집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주변에 여가를 위한 인프라시설과 오픈스페이스가 없어영도를 떠나는 인구 증가하였다. 해당 대지의 블록 정중앙에 위치한 학교와 아파트는 보수적인 프로그램 성격상, 땅의 절토로 인한 물리적 성격상 주위와 단절되어 존재하고, 이는 사람들을 섞어주지 못한다.
Design
<building concept>
<design process>
학교라는 프로그램은 일과시간 동안 학생과 주민을 단절시키고 일과 시간이 끝나면 학교는 닫혀 다음날까지 죽은 공간이 된다. 또한 기존의 학교 면적은 주로 교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자형 배치를 가지고 학교의 프로특성상 폐쇄적인 구조를 가진다. 시간이 흘러 학생 수는 줄어들고 빈 공간은 늘어간다. 그렇게 생긴 공간은 주변 주민과 학생에게 소통의 가능성을 준다.
시간이 정해진 학교, 주민의 편의, 주민과 학생의 관계 회복을 위해 생활 SOC를 도입하여 기존의 학교 틀을 벗어난다. 학교와 새로 채워지는 프로그램을 별도의 부피로 분리함으로써 각 층의 계획에 가장 이상적인 유형과 비율을 갖도록 한다. 생활 SOC의 결합으로 주민에게 학교의 경계는 흐려지고 학생과 주민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상호작용의 핵심은 특별교실이며 이는 학생에게 각 시설들에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게 해준다.
학교와 생활 SOC의 관계를 고려한 분리되고 틀어지고 섞여있는 각 볼륨은 지형, 전망, 마당, 기후, 접근성, 주변 건물과의 관계, 연결된 매스와의 관계 등 개별적인 요구에 대응한다. 흩어진 매스들은 학생들과 주민들을 끌어 들이는 형태를 취한다. 제일 중앙에 초등학교를 배치함으로써 바깥에서는 주민들과의 소통이 일어나고 중앙에서는 학생들의 교육에 집중한다. 매스 간의 중첩으로 인해 매스 간의 교류 가능성이 생기고 학생들은 각각의 생활 SOC 시설에 좀 더 전문화 된 교육을 받으러 갈 수 있다. 매스들의 중첩 공간 외에는 주민들과 학생들 전용 마당 공간이 생겨 주변에 여유를 줄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를 제공하며 붙어있는 매스와 관계를 맺어 작동 가능하다. 주변의 주민들은 매스간의 이동이 가능하며 인프라 시설을 위해 멀리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
< site plan>
학생들이 사용하는 미술실은 전시관 매스에 위치하며 학생들은 좀 더 전문적인 전시 관람, 미적능력을 교육받고 자연스럽게 예술에 가까워질 수 있다.
<gallery & art class>
일반 교실동은 기존의 일자형 배치가 아닌 중정을 두어 운동장을 멀리 가지 않아도 정원에서 놀 수 있다. 중정으로 들어오는 빛은 기존의 교실에 좋은 영향을 끼친다.
<school atrium>
도서관의 어린이 열람실은 초등학교 매스에서 바로 진입 가능하며 저학년/고학년/마을사랑방/도서관 매스 사이로 생기는 놀이 마당으로 바로 연결된다.
<library & playground>
극장 매스에 음악실과 오케스트라실을 두어 좀 더 전문적인 교육을 꾀하고 극장 관람에 대한 교육을 배운다. 또 각 실들과 일반 교실 매스를 음악 놀이터로 연결시켜 순환할 수 있는 동선을 만든다.
<music playground & class>
<circuit diagram>
기존의 절벽같은 급경사를 회복하여 각각의 매스로 접근성을 높이고 주변에서의 고립과 단절을 해소한다. 도서관과 마을사랑방은 3층을 초등학교 고학년, 식당, 극장은 4층을 전시관, 체육관, 초등학교 저학년 매스는 5층을 잘라 학생들이 각각의 실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보여준다.
< floor plan>
<perspective section plan>
<perspective view>
Software
라이노, 오토캐드, 포토샵, 일러스트, 루미온
Image Gallery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학생의 작품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자유롭게 댓글(익명 가능) 또는 인스타 DM 이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mments